현지 화학제품 수요 비중 높아

▲ LG화학이 중국 현지 전기차배터리사업 부문에 이어 기초소재사업 부문에까지 중국정부의 사드 보복 여파가 확산될까 촉각을 세우고 있다. ⓒLG화학
[시사포커스 / 박현 기자] LG화학이 중국 현지 전기차배터리 사업 부문에 이어 기초소재사업 부문에까지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여파가 확산될까 촉각을 세우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국내 석유화학업체 가운데 중국 현지 사업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중국의 사드 보복 기류가 지속될 경우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는 지난해부터 한국산 전기차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 방식으로 한국 기업을 견제해왔다. LG화학 역시 지난해 중국의 전기차배터리 모범규준 인증 실패로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중국 내 전기차배터리 생산공장의 가동률이 20%를 밑도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더욱이 소형전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도 함께 생산하는 LG화학 전지 부문은 중국의 규제 여파로 전기차배터리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현지 공장가동률이 동시에 하락했다.
 
또한, LG화학의 주력사업 가운데 하나인 기초소재사업 부문도 중국의 사드 보복 여파가 염려되고 있다. 해당 사업 부문에서는 나프타 등을 원료로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부타디엔 등 기초원료와 합성수지를 생산한다. 현재 톈진과 닝보, 광저우, 충칭 등에 석유화학 생산공장 및 판매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LG화학은 중국 현지의 화학제품 수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사드를 둘러싼 한·중 간 마찰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석유화학업종 자체가 공장 건설과 운영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장치산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현지에서 대체하기가 어렵다”며 중국의 사드 보복이 해당 분야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