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인연합회로 변경, 조직-예산 대폭 축소

▲ 지난해 ‘어버이연합 게이트’에 이어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에까지 연루되며 전방위적 해체 압박을 받은 전경련이 이름을 한기련으로 바꾸고 쇄신안을 발표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 지난해 ‘어버이연합 게이트’에 이어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에까지 연루되며 전방위적 해체 압박을 받은 전경련이 이름을 바꾸고 쇄신안을 발표했다. 조직이 대폭 축소된 상태에서 존속을 택한 것이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GS 회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과 및 혁신안을 발표했다.
 
우선 1968년 이후 계속 사용해오던 전경련 대신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로 바꾸기로 했다. 49년만에 이름이 바뀐 것이다.
 
또 전경련에서 최고 의사결정기구 역할을 해던 회장단 회의를 폐지키로 했다. 대신 전경련의 중요결정은 새로 신설되는 경영이사회에서 결정키로 했으며, 전문경영인들이 참여한다.
 
또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는 일이 없도록 사회협력회계와 사회본부를 폐지키로 했다. 해당 부서는 ‘어버이연합 지원’ 등으로 논란이 됐다. 허 회장은 “부당한 요청에 따른 협찬과 모금 활동에 일체 응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 산업 분야 싱크탱크가 되겠다고 밝혔다.
 
조직과 예산은 40% 이상 감축된다. 최근 삼성, LG, SK, 현대차 등 4대 그룹이 줄줄이 탈퇴하며 자금줄이 뚝 끊긴 상태라 불가피한 선택이다. 이들 4대 그룹은 2015년 기준으로 전경련 연간회비 492억원 중 약 77% 정도인 378억원을 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경련은 최근 벌어진 사건들 외에도 <노태우 비자금 사건> <세풍사건> <차떼기 사건> <기업별 로비대상 정치인 할당사건> 등에 연루되며 ‘정경유착’의 온상으로 지목돼 왔다. 그 때마다 쇄신안을 발표했지만 결국 공염불에 그친 바 있다.
 
그렇게 말로만 ‘쇄신’을 외쳤던 수십 년 간의 과거가 있었던 만큼, 새로 태어날지는 극히 의문스럽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